
작년 11월 집단감염 확산 시작 12월 5주 최고조
방역수칙 위반 적발 22건 과태료 3,036만원 부과
원주 코로나19 확진자가 이달 마지막 주 들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한 주 동안 68명까지 쏟아져나오던 원주지역 코로나19 확진자는 이달 셋째 주까지만 해도 두 자릿수를 이어갔고, 넷째 주 들어 28일 오후 6시 기준 2명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원주지역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한풀 꺾였다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잇단 집단감염으로 몸살=지난해 11월부터 이달까지 3개월여 동안 원주에서는 총 290명(28일 오후 6시 기준)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원주지역 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본격적인 시작은 의료기기 판매업체발 집단감염이었다. 11월6일 한 의료기기 판매업소에서 시작된 감염은 꼬리에 꼬리를 물며 25명의 확진자를 냈다. 다행히 11월 넷째 주부터는 지인과 가족 간 n차 감염이 산발적으로 이어질 뿐 확산세가 다소 진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12월 중순부터 가족모임, 종교 소모임, 예배 등을 통해 다시 확진자가 속출했고, 30일 A교회를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터지면서 지역사회가 몸살을 앓았다. 12월 다섯째 주(28~1월3일)와 1월 첫째 주(4~10일) 확진자는 각각 68명, 49명이며 A교회 관련 확진자는 총 43명에 달하고 있다. 한편 이 기간 원주에서는 총 4만9,240명이 검사를 받았고, 4,350명이 자가격리를 했다.
■코로나19 불감증 여전=이번 집단감염은 부주의에 따른 인재(人災)라는 비난을 샀다. 대규모 감염이 발생한 A교회와 관련해 원주시는 마스크 미착용, 명부 및 발열체크 누락 등 방역수칙 위반을 확인하고 지난 18일 과태로 150만원을 부과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적용된 지난달부터 방역수칙을 위반해 적발된 건수는 총 22건으로 3,036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됐다. 자가격리자 26명이 무단으로 격리장소를 이탈하는 등 감염 확산에 대한 불감증도 심각했다. 시는 이 중 11명을 고발 조치했고, 15명에 대해서는 수사 의뢰 등을 했다. 특히 시는 대응체계 강화에 나서 보건소에 상설기구인 역학조사팀을 신설, 이달부터 가동에 들어갔다. 앞서 지난해 11월에는 보건소에 선별진료소 및 환자관리와 역학조사, 자가격리 등을 담당하는 자가격리 태스크포스(TF)와 대외창구 역할을 맡는 상황관리 TF를 구성, 31명의 직원을 증원하기도 했다.
■설 명절 최대 고비=전문가들은 지역 내 코로나19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고 방심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김영근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번 설 명절에는 영상통화 등을 이용해 인사를 하는 등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기준 보건행정과장은 “이번 설이 방역의 최대 고비”라며 “부득이하게 다른 지역을 이동하게 될 경우 일주일 전에 무료검사를 꼭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원주=김설영·김인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