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혁진 강원한문고전연구소장=수타사에 대한 문헌을 살펴보니 한시에 대한 자료들이 있어 연구되지 않은 한시에 대해 연구했다. 수타사를 노래한 시들은 사찰 외에도 수타사 주변의 뛰어난 경치를 노래하고 있다. 수타사가 이름을 얻게 된 것은 용연 때문인데 물이 떨어지는 곳에 절이 들어서서 수타사다. 홍천 현감인 안중관이 지은 ‘오음산기우제문'에는 홍천에서 가리산과 수타사 용연, 오음산에서 기우제를 지냈다고 나온다. 수타사를 비롯해 주변 경관도 포함된 시들이 많았는데 수타사가 문화적 요소뿐 아니라 경관적인 요소, 복합적 요소를 아우르고 있는 공간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홍천=최영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