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지역

춘천 캠프페이지 활용 표류 역사 마침표…연내 사업 속도 낸다

'개발→공원→도청 이전' 번복·표류 되풀이
도시재생혁신지구 선정 마침표 기대
정부·춘천시 "하반기부터 속도"
사업 반대하던 道 협의 과제 남아

◇캠프페이지 도시재생혁신지구 구상도. 춘천시 제공

춘천 옛 캠프페이지가 정부의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 선정으로 멈췄던 시계를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캠프페이지는 2005년 미군 기지 폐쇄, 2007년 부지 반환 이후에도 수 차례 활용안이 세워졌다 엎어지길 반복했고, 그 사이 토양 오염 부실 정화 파문까지 일면서 도심 속 황무지로 장기간 방치돼왔다.

■18년 동안 표류=2009년 캠프페이지 발전종합계획이 수립된 당시는 전체 부지의 54% 개발이 결정됐다. 그러나 2019년 시민복합공원으로 방향이 선회됐고 다시 2022년 도청사 이전 발표, 수 개월 후 취소 상황으로 이어지며 시민들에게 실망을 안겼다. 이처럼 표류하던 캠프페이지는 2023년 도시재생혁신지구 후보지로 선정되며 전환점을 맞았다.

민선 8기 육동한 춘천시장은 강원연구원장 재직 시절부터 구상했던 '캠프페이지 부지 내 첨단 산업 유치'를 새로운 카드로 내세웠다.

하지만 춘천시는 지난해 본 사업지 지정을 위한 첫 도전에서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2조7,000억원 대 재원 마련에 대한 우려와 대규모 공동주택을 놓고 찬반으로 갈라진 지역 여론, 강원특별자치도의 반대 등이 겹친 결과였다.

■사업 보완 후 재도전=춘천시는 탈락 결과가 전해진 후 곧 재도전을 결정했다. 대신 우려를 샀던 재원은 개발 면적을 당초 52만㎡에서 12만㎡로 축소, 사업비를 3,800억원까지 낮추며 부담을 덜어냈다. 또 대규모 공동주택 건설을 완전히 철회하고, 잔디 공간을 계획에 반영해 공원 조성을 요구하는 여론을 담아냈다.

다만 강원특별자치도는 사업 절차상의 문제와 시민 공론화 부족을 문제 삼으며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사업 정당성을 두고 맞붙은 도와 시의 공방은 공모 신청 이후까지도 지속됐다.

■道 협의 과제 남아=이번 공모 선정에도 춘천시는 앞으로 도와의 협의를 과제로 남겨뒀다. 국토교통부가 현재 캠프페이지 부지가 공원으로 지정돼있는 점을 고려해 부지의 용도지역을 변경할 것을 주문했기 때문이다. 해당 변경 권한은 도가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해 도는 "공원 해제를 조건으로 사업 시행이 가능하다는 국토부의 결정을 존중하고 앞으로 캠프페이지 활용 방안을 춘천시민과 전략적 비전을 갖고 풀어 가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 같은 상황이 전반적인 사업 속도를 늦추는 요인이 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예산이 하반기 중 내려가고 계획 수립도 시작될 것"이라며 "'용도 변경을 반드시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향후 절차에 필요하다는 점을 설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육동한 시장은 "정부에서 현 사업을 인정한 만큼 도가 도와주리라 확신한다"며 "동반자적 태도를 보여줘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