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권자 3분의 1 투표 마쳐…20년만에 60%대 넘어설지 촉각
민주 “도 선수교체론 효과” 통합 “강원 소외에 보수 결집”
강원도 4·15 총선 사전투표율이 28.75%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을 두고 여야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이 정도의 사전투표율이면 본 투표율까지 상당히 높아질 가능성이 커 이 같은 분위기가 누구에게 유리할지 셈법이 분주해졌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0~11일 이틀간의 사전투표 기간 강원도 내 196개 투표소장에는 132만3,766명의 선거인 중 38만555명이 투표를 마쳤다.
첫날인 10일 18만3,781명(13.88%), 다음날인 11일에는 19만6,774명(14.86%)이 각각 투표했다. 2014년 지방선거에 사전투표가 처음 도입된 이래 최고이자, 2016년 제20대 선거 사전투표율(13.36%)의 두 배 이상이다. 도내 유권자 3분의 1이 이미 선택을 마친 셈이다. 일단 당초 정치권에서 이번 선거의 경우 '코로나19 포비아' 영향으로 다소 투표율이 저조할 것이라는 예상은 빗나갔다. 남은 것은 이처럼 고공행진한 투표율이 누구에게 유리하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여야는 모두 신중한 반응이다. 김지영 더불어민주당 도당 사무처장은 “사전투표율이 높은 것은 여당에게 유리한 젊은층의 유입이 많아서라기보단 정치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결과”라며 “본 선거일 끝까지 가봐야 안다”고 말했다. 미래통합당도 마찬가지다. 차순오 통합당 도당 사무처장은 “정치권 모두 사전투표 독려에 힘썼고, 전 연령대가 투표소를 찾았다”며 “어느 쪽이 유리한지 판단하기에는 현재로서는 이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각 당에서 이렇게 분석하는 이유는 여야에서 서로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연령층의 투표율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 여론조사상으로는 30~40대는 여당, 60대 이상은 야당이 유리하다고 나오고 있지만 이들의 투표 참여율을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다만, 복합선거구에서 소지역주의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각 지역의 투표율은 남은 선거운동 기간 후보들이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 역할은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전국 17개 시·도 중 강원도가 5번째로 사전투표율이 높은 것과 관련해 민주당은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대책에 긍정적인 여론이 많고 '강원도 선수 교체론'이 먹혀들고 있다는 판단이다. 반면 통합당은 문재인 정권의 강원도 소외론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이 뜨거운 데다 숨어 있는 보수층들이 대거 투표에 참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야는 마지막 열쇠를 쥐고 있는 본 선거 날 투표할 스윙보터를 잡기 위해 화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특히 최종 투표율이 20년 만에 60%대를 넘어설지 여부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역대 강원도 총선 투표율은 제16대(2000년)에 62.9%를 기록한 이후 제17대(2004년) 59.7%, 제18대(2008년) 51.5%, 제19대(2012년) 55.7%, 제20대(2016년) 57.7%로 60%를 넘은 적이 없다.
한편 강원도 사전투표율은 2014년 제6회 지방선거 첫 도입 때 14.24%, 2016년 제20대 총선 13.36%, 2017년 제19대 대선 25.45%, 2018년 제7회 지방선거 22.26%를 기록했다.
이하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