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22일 오후 5시 현재 60.1%를 넘겼다. 지난해 같은 기간 72.4%, 평년 82.9%에 비하면 아직 부족하지만 한때 11.6%까지 떨어졌던 점을 고려하면 괄목할만한 수치다. 특히 강릉시가 재난사태 해제를 위해 강원특별자치도 및 관계부처와 협의를 본격화 하면서 사실상 가뭄 종료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한달여 가까이 지속된 이번 가뭄에 대한 뼈저린 반성이 없다면 비슷한 재난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수자원 확보 및 저장 시설 다변화 요구=강릉의 주요 상수원인 오봉저수지는 장기화된 가뭄과 40여일 이상 지속된 폭염으로 빠르게 바닥을 드러냈다. 강릉 도심을 흐르는 남대천 역시 동해까지 거리가 짧아 물을 담아둘 그릇 역할을 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오봉저수지와 남대천만으로는 생활 및 농업에 부족한 점이 드러났다.
수자원 확보 대안으로는 도암댐이 있다. 문제는 여전히 제기되고 있는 수질이다. 댐 바닥 슬러지 제거 등 근본적인 대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대처가 필수적이다.
비용문제에도 불구, 차세대 바닷물 담수화도 심각하게 고려해 봐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밖에 빗물저장조 등 소규모 저장시설을 비롯해 확보된 수자원을 원활하게 사용 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 구축도 시급하다.

■주민 참여형 물관리=강릉시는 지난 6일부터 공동주택 등 123곳을 대상으로 제한급수를 실시했다. 일부 주민들은 '기후 난민'을 자처하며 강릉을 떠났으며 인근 지역 빨래방을 전전했다. 물 부족은 주민생활과 직결되는 만큼 기존의 행정만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다는 시각이다.
강릉 가뭄이 올해 당장 개선될 가능성이 낮은 점을 고려, 이제는 지역주민과 농업인, 전문가,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참여형 지역 물관리 거버넌스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다.
가뭄 단계별 행동매뉴얼 등 탑다운 방식에서 벗어나 공동 설계 및 실행 구조를 통해 지역의 공동 자원인 물을 효율적인 배분을 위해 행정과 지역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가뭄도 재난' 기후변화 현실 대응 필요=지난 8월30일 재난사태 선포 이후 정부가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했지만 정작 가뭄 대처에 소요되는 예산은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이 자체 예비비로 감당했다. 현행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재난사태 선포 이후 국비 투입에 대한 명확한 조항이나 기준이 없어 '선포'에만 그친 형식적인 모습이다.
이에따라 정부가 재정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 전문가들은 강원도의 지역별 수문 구조를 고려, 산악지형 맞춤형 재해관리 전략으로 가뭄을 바라봐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계원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교수는 "가뭄은 기후변화, 지형 한계, 기술 격차, 정책 부재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시스템 재난"이라며 "'비가 오면 괜찮아질 것'이라는 기대에만 의존하는 시대는 끝났다. 예측-저장-분배-대응이 통합된 과학기반 시스템 전략을 기반으로 대응해하는 재난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