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늘(27일) 0시부터 비수도권 전역에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격상하고 8월8일 밤 12시까지 시행하기로 했다. 다만 인구 10만명 이하 시·군에는 자율권을 줬다. 이에 따라 강원도와 18개 시·군은 26일 회의를 열고 지역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조정했다. 춘천, 원주, 강릉은 인구 10만명 이상으로 정부 지침에 따라 3단계를 일괄 적용했다. 피서철을 맞아 감염자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동해안의 동해, 삼척, 속초, 고성 역시 3단계를 시행, 확산세를 차단키로 했다. 최근 유행세가 심상치 않은 태백과 수도권과 인접한 철원도 3단계를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들 9개 시·군을 제외한 나머지 8개 시·군은 지금과 같은 2단계를 그대로 유지키로 했다. 현재 거리두기 4단계를 실시하고 있는 양양은 현 단계를 유지한다. 도내 전역을 모두 3단계로 끌어올려 ‘짧고 굵게' 끝내는 방안보다는 지역마다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충분히 반영한 조치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려스러운 점은 ‘풍선효과'다. 수도권 거리두기 강화에다 지역 이동이 활발한 휴가철까지 겹치자 방문객이 증가한 동해안과 제주, 부산 등에서 코로나19 유행이 본격화되고 있는 점이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 비수도권 확산세가 거침없이 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이나 다름없다. 도내 시·군 간에도 풍선효과는 나타나고 있다. 강릉이 최근 거리두기 단계를 4단계로 올리자 인근 양양으로 인파가 몰려 양양마저 4단계가 된 사례를 꼽을 수 있다. 제각각의 거리두기로는 선제 대처는 고사하고 풍선효과를 완벽히 차단하기 어렵다. 3단계라고 해도 4명까지인 사적모임 허용 인원은 그대로고 유흥업소 영업도 시간 제한이 있을 뿐 여전히 가능하다. 수도권이 지난 2주간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모임을 금지하는 4단계 조치에도 확진자 수가 거의 줄지 않은 것을 보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미지수다.
4차 대유행 방역에는 많은 변수가 도사리고 있다. 교통량이 늘어나는 여름 휴가철에 접어든 데다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가 예사롭지 않다. 휴가지의 집단감염이 계속되는 점도 걱정이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 비율도 30%에 육박한다. 따라서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방역에 모두가 한마음으로 동참하지 않는다면 봉쇄에 버금가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아직도 문을 걸어 잠그고 심야 술판을 벌이는 이들이 적발되는 것은 문제다. 상황이 엄중한 만큼 도민 각자가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 방역 긴장감을 늦추지 않아야만 이 고비를 넘길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