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ICT기술 접목 비대면 서비스 강화 일자리 30만개 창출
빅데이터·AI 활용 기업 2조원 우대 보증 등 금융지원책 확대
정부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고용 창출을 위해 '서비스 산업 고도화'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서비스업에 ICT기술을 접목해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함으로써 2025년까지 새 일자리를 30만개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3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서비스산업 코로나19 대응 및 발전 전략'을 확정했다. 홍 부총리는 10년째 국회에서 발이 묶여 있는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제정안의 3월 국회 처리를 요청했다.
이날 정부는 중점 지원할 서비스산업 분야로 관광업, 보건의료, 물류업, 영상출판콘텐츠, 예술스포츠, 금융서비스, 연구개발서비스, 정보통신 및 소프트웨어(SW)서비스 등 8개 분야를 발표했다.
우선 제조업 중심이었던 중소기업 금융지원책이 서비스업으로도 확대된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하는 서비스기업에는 2조원의 우대 보증을 지원한다. 창업 초기의 관광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3,0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한다. 또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정한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 소상공인의 경우 최대 500만원(자부담률 30%)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혁신솔루션을 도입한 중소기업의 경우 지원 금액이 최대 6,000만원(자부담률 50%)이다.
이와 함께 공유숙박의 제도화를 위해 도시지역 거주 주택에서 내·외국인 모두 이용 가능한 도시민박 관련 업종을 신설하되, 코로나19 상황과 실증특례 성과 등을 고려해 제도화 시기를 검토할 계획이다. 가상현실(VR) 지도 등을 활용한 디지털 전통시장을 500곳 조성한다.
홍남기 부총리는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의 보고(寶庫)라 할 서비스산업의 육성 및 경쟁력 제고 대책도 적극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하림기자 peace@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