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감 없어 비자발적 실업자 급증
지원 대책 전무 사회안전망 시급
춘천에서 교육 강사로 일하고 있는 이모(30)씨는 평소 같으면 3월 급여가 300만~400만원에 달했지만 올해는 수입이 한 푼도 없다. 이씨는 “강의를 하고 싶어도 강의하러 갈 곳이 없다 보니 비자발적 백수가 됐다”고 말했다. 양양에서 헬스장을 운영하는 조모(48)씨도 최근 '강제 백수' 대열에 합류했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헬스장이 휴업했기 때문이다. 특히 30여명에 달하던 퍼스널트레이닝(PT)을 중단하면서 PT 손실액만 900만원을 넘는다.
이처럼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프리랜서 강사, 헬스클럽 트레이너 등 이른바 '강제 백수'가 된 비자발적 실업자들이 늘고 있다.
실제로 학교에서 특강 등으로 수업을 이어갔던 강사들은 매년 반복된 '방학 중 일감 부족 현상'이 개학·개강 연기로 3월 이후에도 이어지면서 올 들어 수입이 전무한 상태다. 피트니스센터 등 실내 체육시설 근무자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사실상 개점 휴업을 이어온 데다 정부가 지난 22일부터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작해 강제 휴업을 하게 됐지만 지원대책이 없어 생계가 막막해졌다. 그나마 체육시설 업주는 소상공인지원 대출 신청이라도 가능하지만, 개인 트레이너들은 4대 보험 가입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고용유지지원금을 통한 휴업수당도 받을 수 없다.
이에 비자발적 백수에 대한 사회 안전망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금선 강원발전경제인협회장은 “정규직뿐만 아니라 비정규직을 위한 정부 차원의 생계보장 정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수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