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강릉

[강릉]확진자 동선 늑장 공개 시민 불만

[코로나 재확산]

방역 늦어지고 잘못된 정보 나도는 등 혼선 빚어

강릉시 “지침 따라 공개…시간 필요한 부분 있어”

코로나19 확진자들의 강릉지역 동선 공개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강릉시청 공무원이 코로나19 확진 가족과 접촉한 후 자가격리되고 청사에 긴급 방역이 이뤄졌지만 청사 내 공무원들에게는 관련 사실이 뒤늦게 고지되자 이동 경로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에 따르면 지난 25일 공무원 A씨가 확진 판정을 받은 서울 거주 할머니와 접촉한 사실이 확인돼 A씨는 자가격리 조치되고 검사가 진행됐다. 다행히 A씨는 음성 판정을 받았다. 이에 보건 당국은 선제적 예방 차원에서 같은 날 오전 A씨가 근무하던 청사 11층과 엘리베이터 5대 등을 대상으로 긴급 방역소독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같은 청사에 근무하는 직원들에게조차 관련 사실이 다음 날인 26일 알려졌다.

경기도 성남시 273번 확진자 60대 남성 B씨의 이동 경로도 혼선을 일으키며 주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시는 최초 B씨가 지난 18일 오후 1시23분부터 1시52분까지 포남동 소재 식당에서 머문 것으로 발표했다. 이후 시는 26일 밤 상호명을 공개하며 이날 오후 1시부터 2시까지 해당 업소를 방문한 이용자는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받을 것을 안내했다. 이에 동일 시간대 해당 업소를 이용한 주민들은 뒤늦은 상호명 공개가 불안감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일부 주민은 “업주들의 사정은 이해하겠지만 동(洞) 이름만 공개된다면 누가 검사 대상이 되는지, 어떤 상황인지 등에 대한 시민들의 알권리는 무시되는 거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와 함께 원주 31, 33번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포남동 카페가 테라로사 경포호수점으로 밝혀지기 전 포남동의 한 카페라고 동선이 공개됐다. 이후 일부 카페가 확진자가 다녀간 카페로 오해를 받자 포남동의 카페는 시청 홈페이지 게시판에 상호명을 밝히고 “확진자가 다녀가지 않았다”는 내용의 글을 남기는 등 2차 피해도 계속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읍·면·동 단위 이하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등 확진 환자의 이동 경로 정보공개 지침에 따르고 있고 역학조사 결과 필요에 따라 상호명 등이 공개된다”며 “확진자의 진술과 CCTV 확인 등 다소 시간이 필요한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강릉=김천열기자 history@kwnews.co.kr

관련기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