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 소속 도지사 지역 국회의원 대화채널 차단
도내 정가 등 정부예산편성 지역적손해 우려 목소리
도내 4·11 총선 결과가 새누리당 석권으로 귀결되자 도청 주변은 크게 술렁이고 있다.
역대 선거에서는 어느 정도 유지됐던 여야 간 균형이 사라지며 민주통합당 소속인 최문순 지사의 '지역 국회의원 대화 채널'이 차단됐기 때문이다. 타 지역 및 비례대표 국회의원과의 대화채널 가동은 가능하지만 민감한 도정 현안은 해당지역 국회의원과의 협력이 우선이기 때문에, 이런 면에서 최 지사는 사실상 '고립무원'의 상태에 놓인 셈이다.
이에 대해 지역 정가와 도청 주변에서는 우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19대 국회 개원이 본격적인 정부예산 편성 착수는 물론 12·19대선 정국이 뜨거워질 시기와 겹친다는 점에서 더 큰 우려를 낳고 있다.
도 관계자는 “대선 열기가 달아오르면 각 정당은 시·도별 정부예산 편성도 선거전략에 초첨을 맞추려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도와 국회의원간 호흡이 맞지 않는다면 지역적으로 큰 손해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최문순 도정의 성과로 남을 수 있는 현안사업 예산은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대선 정국에서는 중앙정부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지방정부에 대한 평가도 거론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지난 해 4·27 보궐선거를 통해 출범, 이제 막 자리를 잡은 최문순 도정은 크게 흔들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 도정 차질의 피해는 지난 11일 9명의 국회의원을 선택해준 주민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 또 다른 일각에서는 “도민의 4·11 총선표심은 정권심판론보다 주민과의 약속, 민생 챙기기를 택했다”며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도 현안 및 지역경제가 어려워진다면 그 부담은 최문순 도정보다 정치권으로 먼저 돌아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지역 정가에서는 “4·11 총선 결과는 막말, 흠집 내기 등으로 표를 얻으려 했던 중앙정치권에 대한 경고이지 최문순 도정에 대한 평가는 아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최문순 지사 입장에서도 9명의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과의 협력, 소통로 만들기 노력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크다. 특히 이번 총선에 간접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이광재 전 지사와 관련된 사안에 대한 정비, 지역 국회의원들과의 연결고리 마련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 지사가 국회와 협력할 업무가 많은 도 서울사무소장을 비롯해 정무특보 등에 중도 인사를 임명하는 등의 소통로 마련에 나설지도 주목된다.
또 최두영 행정부지사와 김상표 경제부지사, 배진환 기획관리실장 등 도 간부공무원들의 역할도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이규호기자 hokuy1@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