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정치일반

[역대 강원도 표심 흐름]정당간 일정 균형 유지하다 사상 첫 특정정당서 싹쓸이

특정 정당이 도내 모든 지역구를 차지한 것은 도내 총선 사상 처음이다. 역대 도내 총선에서는 새누리당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한나라당, 신한국당, 민자당이 강세를 보이기는 했지만, 각 정당별(무소속 포함)로 어느 정도 균형은 유지됐었다. 이 때문에 이번 새누리당의 완승, 야당과 무소속의 완패는 지역정서 외에도 선거 막바지에 터진 각종 변수, 정당의 정책 및 전략 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0년 전인 1992년 3월24일 노태우 정권 시절 치러진 제14대총선에서 도내 선거구는 총 14개였다. 당시 여당인 민자당이 차지한 의석은 8석, 나머지 6석은 국민당(4석)과 신정당 민중당 후보에게 돌아갔다.

김영삼 정권(문민정부) 시절인 1996년 4월 11일 열린 제15대 총선에서의 여당은 신한국당이었다. 신한국당은 당시 도내 13개 의석 중 9개를 가져갔다. 여당 주요 당선자는 한승수(춘천) 전 총리, 함종한(원주갑) 전 의원, 최연희(동해) 의원, 송훈석(속초-고성-양양-인제) 의원, 고 이용삼(철원-화천-양구) 의원 등이다. 나머지 4석은 민주당과 국민연합 몫이었다.

김대중 정권(국민의 정부)이 들어선 2000년 4월 13일 있은 제16대총선에서는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에서는 최돈웅(강릉) 전 의원, 최연희(동해-삼척) 의원, 김용학(영월-평창) 전 의원 등이 당선됐다. 여당인 민주당에서는 이창복(원주) 전 의원, 김택기(태백-정선) 전 의원, 송훈석(속초-고성-양양-인제) 의원, 유재규(홍천-횡성) 전 의원, 고 이용삼(화천-철원) 의원 등이 당선됐다. 참여정부때인 2004년 제17대총선에서는 8개의 의석 중 6석을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이 가져갔다.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에서는 이광재(태백-영월-평창-정선) 전 지사와 조일현(홍천-횡성) 전 의원이 당선됐다. 한나라당이 야당이면서도 이처럼 강세를 보일 수 있었던 것은 당시 도내 자치단체를 석권하다시피하고 있던 시장·군수들과 지방의원들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한나라당의 강세는 18대총선에서 여당인 한나라당 당선자가 3명에 머물고 민주 2명, 무소속 3명이 당선되며 주춤했다.

이규호기자

관련기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